본문 바로가기
알뜰 복지 뉴스

월세 계약 시 주거지원금 신청을 미리 알리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될까요?

by 지후니맘77 2025. 2. 16.
반응형

사건의 배경과 쟁점

최근 A씨는 월세 계약 체결 후 주거지원금을 신청하려다 임대인 B씨의 반발에 부딪혔습니다. B씨는 지원금 신청으로 인해 세금 문제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며 계약 해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. 이에 A씨는 계약 해지 시 위약금 청구가 가능한지 궁금해합니다.

 

법적 검토: 임차인의 권리 vs 임대인의 의무

  1. 주거지원금의 성격과 임대인의 협조 필요성
    • 주거지원금은 임차인의 권리로, 임대인의 동의 없이 신청 가능합니다.
    • 다만, 일부 지자체는 지원금을 임대인 계좌로 송금하기 때문에 계좌 정보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이는 행정적 절차일 뿐, 임대인의 법적 협조 의무는 아닙니다.
    • 따라서 A씨가 계약 시 이를 미리 고지하지 않은 것이 과실로 볼 근거는 없습니다.
  2. 임대인의 계약 해지 주장의 타당성
    • B씨의 세금 우려는 개인적 사정이며, 계약 위반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.
    • 「주택임대차보호법」 제6조에 따르면, 임대인은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을 해지할 수 없습니다. B씨의 요구가 합리적이라면, 법원의 판단을 받아야 합니다.
  3. 해지위약금 청구 가능성
    • 계약서에 위약금 조항이 명시된 경우, A씨는 B씨의 부당 해지에 대해 위약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일반적으로 위약금은 월세의 2~3배 또는 보증금의 10~30% 범위에서 약정됩니다.
    • 단, B씨가 세금 문제를 이유로 정당한 해지 사유를 주장한다면, 법원은 이를 심사해 판단할 것입니다.

실제 대처 방안

  • 공인중개사의 역할 확인: 계약 당시 중개사가 주거지원금 관련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경우, 중개 과실로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지자체 제도 확인: 일부 지역은 임차인 본인 계좌로 지원금을 지급합니다. 해당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  • 임대인과의 협상: B씨에게 세금 영향이 미미함을 설명하고, 지원금 신청이 임대차 계약 유지에 방해되지 않음을 강조하세요.

향후 계약 시 주의점

  • 계약서에 주거지원금 관련 조항 추가: "임차인이 정부 지원금을 신청할 수 있음"을 명시해 분쟁을 예방하세요.
  • 임대인의 세금 신고 의무 설명: 중개사를 통해 임대인에게 소득 신고 의무를 사전에 알리도록 요청하세요.

결론: 임차인의 권리 보호를 위해 적극 행동하라

A씨는 B씨의 계약 해지 요구가 부당하다고 판단되면,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거나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. 또한, 주거지원금 신청은 임차인의 정당한 권리이므로, 임대인의 협조를 구하기보다 행정기관에 직접 협의를 요청하는 것도 방법입니다.

 

마지막 질문: 임대인의 세금 우려를 해소하면서 임차인의 복지 혜택을 보장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?

반응형